Economy/World & Macro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

썬데이즈 2020. 5. 27. 11:04

현재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기사들이 이어지고 있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내 반정부 행위를 처벌하는 내용)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 법이 전인대(전국인민대표회의)를 통과한다면 홍콩의 자주권은 더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미국은 이에 홍콩 특별지위 박탈이나 환율제재나 관세제재 같은 경제제재로 압박을 가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중 분쟁이 더 격화되며 홍콩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더욱 커질 것이다. 그리고 오늘 또 다른 기사를 접하게 되었다.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절하시켰다. 보통 통화가치를 절하시킨다는 것은 수출 경쟁력을 높여서 내수 경제를 살리기 위함이다. 하지만 의문이었던 것은 통화가치가 떨어지면 기축통화가 되기 어렵다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그리고 수출을 많이 하게 되면 위안화가 많이 퍼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중국으로 달러가 들어오게 된다. 그래서 이해가 되지 않았다.

해당 기사를 인용하자면, “증권 업계 일각에서는 중국의 위안화 절하 조치가 위안화 통화량을 늘려 달러화에 대응하고 기축통화 지위를 차지하기 위함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장기적으로 중국 DCEP(Digital Currency Electronic Payment)까지 확장해 국제적 입지를 높이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출처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6/2020052603829.html)”

일단 이해한 방식은 단기적으로 위안화 통화량을 늘리고 수출의 안정성부터 확보하겠다고 해석했다. 수출을 많이 하게 되면 내수경제가 활성화되어 수입을 더 많이 하는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다. 그렇게 일대일로 국가들 등 각국에 퍼져나간 위안화 입지를 강화하고, 그 이후 장기적으로 무역결제나 국제송금에서 편의성을 입증하여 달러의 지위를 밀어내고자 함이라고 이해했다.

기축통화의 장점은 상당히 많다. 그래서 중국도 이렇게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DCEP를 활용한 위안화의 국제화가 가능할까? 이렇게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 한국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가?

(용어정리)

중국의 최대 정치행사로 양화가 있다. 이는 중국의 경제 정책과 주요 법안을 심의하는 기구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묶어 부르는 말이다.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

DCEP(Digital Currency Electronic Payment) : 은행계좌나 신용카드를 연결할 필요도 없고, 온라인 상태가 아니어도 결제 가능한 지급방식, 중국판 CBDC

https://blog.naver.com/dunamupr/221749693125

 

[블록체인 이야기] 26. 끝말잇기 아니고 무엇? CBDC? DCEP? 그것이 알고싶다!

​블록체인 기술이 만드는 미래와 닮은세상 모든 분야의 이야기를 담습니다.​[블록체인 이야기]26. 끝말잇...

blog.naver.com